맨위로가기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는 1976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가이온지 조고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헤이안 시대 중기를 배경으로,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과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을 중심으로 권력에 저항하는 영웅들의 이야기와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다. 가토 고가 다이라노 마사카도 역을, 요시나가 사유리가 다카코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30.1%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현재 모든 영상이 보존되어 DVD로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무사시 MUSASHI
    2003년 NHK 대하드라마 '무사시 MUSASHI'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를 원작으로 하며, 유명 배우 출연, 엔니오 모리코네 음악, 역사 왜곡 및 저작권 논란, 그리고 간류지마 결투 장면의 특수효과와 배우들의 연기가 주목받았다.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어게인!!
    어게인!!은 쿠보 미츠루의 만화로, 과거로 타임 슬립한 주인공이 응원단 활동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밤의 피크닉
    《밤의 피크닉》은 은다 륙의 소설을 원작으로 고등학교의 전통 행사인 '보행제'를 배경으로 청춘들의 이야기와 이복 남매인 니시와키 도오루와 고다 다카코를 중심으로 친구들과의 관계, 미묘한 감정들을 다루며 소설, 영화, 무대극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모모쿠리
    모모쿠리는 쿠로세의 만화이자 애니메이션으로, 고등학생 쿠리하라 유키가 모모츠키 신야에게 반해 연애를 시작하지만 유키의 집착적인 성격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이다.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작가이온지 초고로의 '헤이케 마사카도', '바다와 바람과 무지개와'
각본후쿠다 요시유키
연출오하라 마코토
음악야마모토 나오즈미
주제곡 연주NHK 교향악단
방송 채널NHK
방송 기간1976년 1월 4일 ~ 12월 26일
방송 횟수52회
방송 시간일요일 저녁 8시 ~ 8시 45분 (45분)
제작일본방송협회
언어일본어
출연
주연가토 고, 요시나가 사유리
조연야마구치 다카시, 구사카리 마사오, 나가토 이사무, 호시 유리코, 시시도 조, 미야구치 세이지, 다키가와 유미, 호소카와 도시유키, 요시유키 가즈코, 나라오카 도모코, 데라다 미노리, 가니에 게이조, 하야시 구니시로, 다이치 기와코, 니시무라 고, 아라타마 미치요, 쓰유구치 시게루, 고바야시 게이주, 오가타 겐
그 외 출연진신주 미치요, 오가타 겐, 기노미 나나, 고바야시 게이주, 사노 아사오, 시미즈 고지, 다카오카 겐지, 다키가와 유미, 쓰유구치 시게루, 나가토 이사무, 나카야 노보루, 니시무라 아키라, 마노 교코, 미네기시 도루, 요네쿠라 고사쿠
제작진
제작 총지휘오가와 준이치, 시즈야 마사유키
연출오하라 마코토 외
각본후쿠다 요시유키
음악야마모토 나오즈미
내레이터가세 쓰기오
기타
이전 작품겐로쿠 태평기
다음 작품화신 (NHK 대하드라마)

2. 기획 및 제작

1976년 NHK 대하드라마인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는 가이온지 조고로의 소설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바다와 바람과 무지개와』를 원작으로 한다.[2][3] 후쿠다 요시유키가 각본을, 야마모토 나오즈미가 음악을 담당했다.[8] 시대적 배경은 헤이안 시대 중기(10세기 초)이다.

당초 기획은 이케나미 쇼타로의 소설 『불의 나라의 성』(가토 기요마사가 소재)을 드라마화하는 것이 유력했지만, NHK 예능국장이 가토 기요마사처럼 수수한 인물이 대하드라마 주인공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며 무산되었다. 이미 주연으로 가토 고가 내정되어 있었고, 그가 다이라노 마사카도를 연기하고 싶다고 제안하여 대체안으로 채택되었다. 가이온지는 NHK의 제안을 흔쾌히 수락했고, 같은 조정에 대한 '반역자'인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이야기를 결합하는 형태로 드라마화되었다.

제목은 스미토모를 다룬 『바다와 바람과 무지개와』의 '바다'를 '구름'으로 바꾸어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본거지인 '간토'를 표현했다. 오래된 시대 설정에 시청자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제1화 시작 부분에서는 현재의 간다묘진(다이라노 마사카도가 제신)을 보여주었다. 이는 1965년 『다이코키』가 제1화 시작 부분에 도카이도 신칸센을 비춘 것을 참고한 것이다. 프로듀서인 키시다 토시히코는 오래된 시대가 무대이기에 시대 고증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각본을 맡은 후쿠다 요시유키는 마사카도를 "우선 민중이 존재하고, 공(公) 등은 훨씬 뒤에 생겨난 것이다"라고 봉기를 촉구하는 등 반란의 역사적 위치를 스스로 의식한 주인공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대사는 원작에는 없다.) 또한, 괴뢰, 해적, 유녀, 농민 등 서민 계층의 등장인물이 활약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동서의 주인공을 잇기 위해 닌자를 캐릭터로 설정하고, 여닌자 케라바 (요시유키 와코)의 파트너로 신인 쿠사카리 마사오가 기용되었다.

헤이안 중기 동국이 무대인 만큼 기마 장면이 많았는데, 경비를 줄이기 위해 마구간에 들어간 경주마를 3주간 촬영용으로 빌려 촬영 당일 상태가 좋은 말부터 골라 사용하고, 합전 장면을 그 기간에 묶어 촬영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또한, 일상에서 기승하는 장면은 스튜디오에 사다리에 널빤지를 얹어 말처럼 보이게 한 대를 준비하고, 거기에 배우를 앉혀 상반신만 촬영하는 (배경은 나중에 로케 이미지를 합성) 수법을 고안했다.

매년 대하드라마 출연자는 나리타산 신쇼지의 콩 뿌리기에 참가하지만, 신쇼지는 마사카도를 토벌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이기에 본작의 세계관과 맞지 않아 출연자들은 콩 뿌리기에 참가하지 않았다.

NHK 대하드라마 스토리 (NHK 출판)가 간행된 첫 작품이기도 하다.

오프닝은 제1화에 한하여 메인 타이틀, 다치바나노 마사카도의 검무 이미지 영상, 마사카도의 죽음 후 간토 백성이 그의 생존을 이야기하는 장면, 말을 타고 질주하는 마사카도의 모습 순으로 이어진다. 산자락의 공중 촬영 영상을 배경으로 서브 타이틀, 출연진 및 제작진 크레딧이 흐른다. 본편 도입부에서는 원작자 가이온지 조고로의 해설과 내레이션으로 헤이안 시대 이전까지의 국가 체제가 설명된 후 드라마가 시작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음악은 야마모토 나오즈미가 작곡하였으며, 다단조로 시작하여 느린 곡조에서 후반부에는 올림마단조로 전조하는 곡이다.

본 작품의 주제곡은 기악곡이지만, 새로 붙여진 가사를 카토 고가 불렀으며, CBS 소니에서 대하드라마 사상 처음으로 주제가가 발매되었다. 무라타 히데오가 부른 싱글 음반도 도쿄 EMI에서 발매되었다. 음반에는 "주제가"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극 중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3. 역사적 배경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는 일본헤이안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가이온지 조고로의 소설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바다와 바람과 무지개와》를 원작으로 한다.[2][3] 이 드라마는 1976년 NHK에서 가토 기요마사를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를 제작하려던 계획이 무산된 후, 주연 예정이었던 가토 고의 요청으로 만들어졌다.[4]

드라마는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일생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5] 마사카도는 어린 시절 후지와라노 히데사토를 만나 훌륭한 사무라이가 되기를 꿈꾼다.

각본은 후쿠다 요시유키가 맡았으며, 마사카도는 백성을 우선시하고 봉기를 촉구하는 등 반란의 역사적 위치를 스스로 인식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또한, 괴뢰, 해적, 유녀, 농민 등 서민층 인물들이 활약하며, 닌자 캐릭터도 등장한다.

헤이안 중기 동국이 무대인 만큼 기마 장면이 많았는데, 경비를 줄이기 위해 경주마를 빌려 촬영하고, 스튜디오에서는 사다리와 널빤지를 이용해 말을 타는 장면을 연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매년 대하드라마 출연자들은 나리타산 신쇼지에서 콩 뿌리기 행사에 참여하지만, 신쇼지가 마사카도를 토벌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이라는 점 때문에 본작 출연자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10세기 초, 간무 헤이씨 일족 다이라노 요시마사의 아들로 태어난 다이라노 고지로 마사카도는 관직을 얻기 위해 헤이안쿄로 상경한다. 그러나 뇌물이 만연하는 도성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귀족 사회에 실망한다. 그러던 중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를 만나고, 그에게서 반란의 가능성을 엿보게 된다.

벼슬을 얻지 못하고 사랑에도 실패한 채 고향으로 돌아온 마사카도는 반토 헤이씨 일족의 내분에 휘말린다. 그는 백부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백성들의 지지를 얻지만, 정치적 야심은 없었다. 하지만 결국 조정의 추토사가 파견되면서 다와라노 도타(후지와라노 히데사토), 다이라노 사다모리 등과 싸우다 전사한다.

한편, 세토 내해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스미토모는 마사카도의 전사 소식을 듣고 자신의 야망이 꺾였음을 깨닫는다.

3. 1. 헤이안 시대 중기의 사회상

헤이안 시대 중기에는 중앙 귀족들의 정치 부패와 횡포가 심해지고, 지방에서는 호족들이 성장하여 자립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농민들은 과중한 세금 부담으로 생활고를 겪었으며, 조정막부 사이의 권력 다툼 속에서 민중들의 고통은 더욱 커졌다.[2][3] 이러한 사회상은 10세기 초, 간무 헤이씨 일족인 다이라노 요시마사의 아들로 태어나 헤이안쿄로 상경한 다이라노 고지로 마사카도가 뇌물이 만연하는 귀족 사회에 환멸을 느끼고,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와 만나 반란을 꿈꾸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3. 2.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

헤이안 시대 중기, 간토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다이라노 마사카도는 조정의 부당한 지배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다.[8] 마사카도는 간토 지방의 여러 호족들을 규합하여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하고, '신황'을 자칭하며 조정에 맞섰다.[5]

마사카도는 백부 다이라노 구니카나 다이라노 요시마사, 유력 호족 미나모토노 마모루·후야노코 등과의 내분을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점차 조정에 대한 반란의 수장으로 추대되었다. 마침내 반토(坂東)를 제압한 마사카도는 조정의 적이 되었고, 사촌 다이라노 사다모리, 다와라노 도타(후지와라노 히데사토)와의 숙명의 대결로 향하게 된다.

결국 마사카도의 난은 후지와라노 히데사토, 다이라노 사다모리 등의 연합군에 의해 진압되었지만,[5] 일본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무사 반란으로 기록되며 이후 무사 정권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3.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세토 내해에서 해적을 이끌던 인물로, 조정의 수탈에 저항하여 난을 일으켰다.[1] 그는 해상 세력을 기반으로 조정에 맞서 싸웠으며, 한때 규슈 북부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했다.[1] 스미토모는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교토에서 만나 서로 깊이 이해하는 사이가 되었으며, 이후 이요노죠(伊予掾)로 임명되어 해적 대책을 명받았지만, 부패한 귀족 정치를 타도해야 한다는 생각에 히부리 섬(日振島)에서 거병하고 요도가와(淀川)까지 공격했다.[2] 그는 귀족을 '국가라는 커다란 나무를 둥지삼아 안에서 갉아먹는 흰개미'에 비유하기도 했다.[2]

스미토모는 마사카도가 반도 땅에서 반란을 일으키면 자신이 서쪽에서 봉기하여 동서에서 호응하면 수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사카도가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고 고뇌 끝에 퇴각을 결정했으며, 자신의 야망도 꺾였음을 깨달았다. 스미토모의 난은 조정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해상 세력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후 해적들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1]

4. 주요 등장인물

가토 고는 주인공 다이라노 마사카도 역을 맡았고, 야마구치 타카시는 마사카도의 라이벌 다이라노 사다모리 역, 츠유구치 시게루후지와라노 히데사토 역, 오가타 켄후지와라노 스미토모 역을 각각 연기했다.


4. 1.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주변 인물

; 다이라노 소마노고지로 마사카도 - 가토 고우(아역 - 오가타 테쓰)

: 순박하고 무예에 뛰어나며 불의를 보아 넘기지 못하는 강직한 성격이다. 다이라노 사다모리와는 함께 청춘시대를 보내고 미나모토노 마모루(源護)의 딸 고고(小督)와 사랑에 빠져 구혼하지만 마모루에게 "구혼하고 싶거든 그에 걸맞는 관위를 얻어 오라"는 요구를 받고 교토로 상경, 우병위소지(右兵衛少志)에 임관되었으나 이는 사다모리보다 훨씬 뒤처지는 관위였다. 도적 퇴치에 나섰다가 그 도적이 고귀한 신분이었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해적이 발호하는 서해도(西海道)로 가는 추포사(追捕使)를 따라 종군한다. 그곳에서 교토에서 친교를 맺었던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계략으로 전멸한 추포사 가운데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나, 수도에 돌아왔을 때는 자신과 사귀던 다카코(貴子)가 사다모리와 사귀는 사이가 되어 있었다. 실의에 빠져 관직을 내놓고 반도로 돌아오지만, 그곳에서 아버지의 형제들이 땅을 가로채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큰아버지 다이라노 요시카네(良兼)의 딸인 요시코(良子)를 강탈한 것이 문제가 되어 일족 안에서 고립되고 큰아버지들과 싸우게 되었다. 가쿠즈치노카미(火雷天神)의 기치 아래 다이라 일족이나 겐지 일족과의 전투에서 이기고 세력을 넓혀 반도 백성들의 지지를 얻게 되지만 정치적인 야심은 없었고, 무녀의 신탁을 받게 된 뒤에도 자신이 실제로 신황으로써 일본의 새로운 천황이 된다는 생각은 하지도 않았지만, 교토에서 추토사가 파견되는 가운데 다와라노 도타나 다이라노 사다모리 등의 연합군과 싸우다 전사한다.[8]

; 마사카도의 가족

역할배우설명
다이라노 요시마사고바야시 케이주마사카도의 아버지
마사코아라타마 미치요마사카도의 어머니
다이라노 마사요리다카오카 겐지마사카도의 남동생



; 마사카도의 가신

역할배우설명
겐메이쿠사카리 마사오
겐도시시도 조



; 다카코(貴子) - 요시나가 사유리

: 마사카도의 연인이자 비극적인 운명의 여인.

4. 2. 간토의 호족들

4. 3.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와 주변 인물

오가타 켄이 연기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다이라노 마사카도와 교토에서 만나 서로 마음을 터놓는 사이가 되었다.[1] 그 후 스미토모는 이요노죠(伊予掾)에 임명되어 해적 대책을 명령받지만, 부패한 귀족 정치를 타도해야 한다는 생각에 히부리 섬(日振島)에서 거병하여 요도가와(淀川)까지 공격한다.[1] 하지만 마사카도가 전사했다는 것을 알고 고뇌 끝에 퇴각을 결정한다.[1] 그는 귀족을 '국가라는 커다란 나무를 둥지삼아 안에서 갉아먹는 흰개미'에 비유하기도 했다.[1]

이마후쿠 마사오가 연기한 후지와라노 쓰네토시는 아와지 섬, 아즈키 섬을 통치하는 해적의 우두머리였다.[2]

5. 드라마의 주제와 특징

風と雲と虹と일본어헤이안 시대 중기를 배경으로, 다이라노 마사카도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생애를 그린 작품이다.[8] 원작은 가이온지 조고로의 소설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바다와 바람과 무지개와』이다.[2][3]

후쿠다 요시유키가 쓴 각본에서 마사카도는 "우선 민중이 존재했고, 공(公) 등은 훨씬 뒤에 생겨난 것이다"라며 봉기를 촉구하는 등, 반란의 역사적 위치를 스스로 의식한 주인공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꼭두각시, 해적, 유녀, 농민 등 서민 계층 등장인물들이 활약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드라마는 지배층이 아닌 억압받는 민중의 관점에서 역사를 조명한다. 마사카도와 스미토모는 부패한 권력에 맞서 싸우는 영웅으로 그려지며, 백성을 위한 나라를 세우려는 이상을 품고 있었다.

다카코라는 인물을 통해 주인공들의 갈등과 사랑, 비극적 운명이 강조된다.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당시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6. 영상 보존 현황 및 관련 상품

NHK 대하드라마 중 모든 영상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총집편은 VHSDVD로 발매되었으며, 완전판 DVD는 2007년에 발매되었다.[9]

구분내용
총집편전 2권 (VHS), 2장 (DVD)
완전판전 7권, 13장, 52화 (DVD)


7. 평가 및 영향

이 드라마는 방영 당시 최고 시청률 30.1%, 평균 시청률 24.0%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대하드라마의 역사적 배경과 소재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후쿠다 요시유키가 집필한 각본은 "우선 민중이 존재하고, 공(公) 등은 훨씬 뒤에 생겨난 것이다"라는 대사를 통해 민중 중심의 역사관을 제시하여 역사 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드라마의 무대가 된 이바라키현 카사마를 비롯하여, 다이라노 마사카도와 인연이 있는 장소들이 관광 명소로 떠올랐다. 카스가 타이치는 이를 "대하드라마는 하나의 프로그램 틀에 머물지 않고, 큰 산업을 만들어내는 원천이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평가하며, 이후 작품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8.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Kaze to Kumo to Niji to http://www.nhk.or.jp[...] NHK 2017-06-03
[2] 웹사이트 風と雲と虹と」に主演した加藤剛が語る"極悪人"平将門の魅力とは? https://dot.asahi.co[...] AERA 2018-10-12
[3] 웹사이트 風と雲と虹とは? https://kotobank.jp/[...] kotobank 2018-10-12
[4] 웹사이트 風と雲と虹と」に主演した加藤剛が語る"極悪人"平将門の魅力とは? https://dot.asahi.co[...] AERA 2018-10-12
[5] 웹사이트 Kaze to Kumo to Niji to https://www.jidaigek[...] Jidaigeki.com 2017-06-03
[6] 뉴스 テレビドラマ版『同棲時代』、幻の録画テープ発見秘話 https://dot.asahi.co[...] 2013-05-09
[7] 간행물 あの日あのときあの番組 ~NHKアーカイブス~ 2018年9月の放送 キャスター:森田美由紀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19-10-24
[8] 문서
[9] 웹사이트 텔레비전 드라마판 『동거시대』(同棲時代)、환상의 녹화분 발견의 숨겨진 이야기(일본어) https://dot.asah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